반응형
북극해는 어떻게 얼게 되죠?
북극에는 정말 거대한 얼음이 존재하는 데 어떻게 물이 꽁꽁 얼어붙어 거대한 얼음을 형성할 수 있는 걸까요?
북극해 얼음은 겨울철 북극해에서 형성되는 얼음입니다. 다른 분자, 물질, 불순물이 들어 있지 않은 순수한 물은 섭씨 0도에서 업니다. 반면, 바닷물에는 3.5%의 미네랄과 소금을 함유하고 있어 어는 점이 순수한 물보다 낮습니다. 섭씨 -2도 북극의 대기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기 시작하는 겨울동안, 깊은 층의 바닷물은 아주 작은 얼음 결정체를 만들기 시작합니다. 완전히 얼지 않은 살얼음이라고 할 수 있죠. 기온이 더 떨어지게 되면 살얼음은 점점 두꺼워지면서 조금씩 가라앉기 시작합니다.
얼음 결정의 아랫층은 소금을 더 함유하게 되고 윗층은 소금의 함량이 적어집니다. 따라서 물의 어는 점이 약간 높아지게 되면서 윗부분의 살얼음이 완전히 얼게 되는 것이죠. 이런식으로 얼음의 층은 점점 두꺼워지며, 3월에 최고조에 이르게 됩니다. 한편, 따뜻한 여름 몇 달 동안, 얼음은 분리되기 시작하며, 9월경에는 가장 낮은 수준에 도달하게 됩니다.
반응형
'심심한데 한 번 읽어볼까!? > 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리안 : 영양성분, 고르는 법, 사실 (4) | 2021.03.13 |
---|---|
왜 해안이 침식되는 걸까? (3) | 2021.03.12 |
코코넛 : 영양성분, 고르는 법, 사실 (3) | 2021.03.10 |
극지방 : 동물의 추위를 이겨내는 방법 (3) | 2021.03.09 |
체리 : 영양성분, 고르는 법, 사실 (3) | 2021.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