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몸에 멍이 생기는 이유
우리 몸은 충격을 받게 되면 멍이드는데 멍은 모세혈관이 터져 피가 살 속에서 뭉친 것입니다. 피부 밑의 미세한 혈관이 터지게 되면 피가 혈관밖으로 나오게 됩니다. 우리는 보통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게되면 몸에 멍이들지만 다른 이유로 멍이들기도 합니다.
혈관이 약해진 경우, 혈액이 잘 굳지 않는 경우 그리고 혈액 내의 혈소판의 수가 줄어들어 그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멍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남성보다 여성이 멍이 잘 드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여성호르몬 때문에 혈관이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몸에 멍이들면 주로 날계란으로 문지르는 데 계란 껍질에는 뭉쳐있는 피를 흡수하는 성분이 있어서 멍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계란의 껍질보다는 껍질을 벗기면 나타나는 투명한 막이 효과가 크다고 합니다.
반응형
'심심한데 한 번 읽어볼까!? > 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두운 곳에서 책을 보면 눈이 나빠지는 게 사실일까? (2) | 2021.01.02 |
---|---|
헬륨가스를 마시면 목소리가 변하는 이유 (4) | 2021.01.01 |
근대 과학의 아버지 : 갈릴레오 갈릴레이 (4) | 2020.12.30 |
세 가지 법칙 : 케플러 (3) | 2020.12.29 |
코페르니쿠스 혁명 : 지동설 (2) | 2020.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