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바다물고기는 왜 민물에서 살지 못할까요?
물고기들은 물 속에서 살아야 하므로 몸 안에 수분과 염분 균형을 유지하는 데 있어 독특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삼투 조절이라고 하는데, 대부분의 어류에 있어 민물이냐 해수냐를 결정하는 것은 이 삼투조절 시스템의 차이 때문입니다.
삼투압은 농도 차에 의한 물의 이동입니다. 즉, 농도가 낮은 곳에서 농도가 높은 곳으로 물이 이동해서 양쪽의 농도가 비슷해지는 것입니다. 바다물고기의 몸 안의 염도는 1.5%이고 바닷물의 염도는 약 3.5%입니다. 그래서 핏줄 속의 수분이 빠져나가지 않게 하기 위해 피의 농도를 바닷물의 농도와 비슷하게 만듭니다. 또 짠물을 많이 삼키면서 오줌은 조금 싸며 과잉 염분은 아가미에 있는 특수 세포를 통해 외부로 내보냅니다. 만약 이 기능이 없다면 바다물고기는 모두 탈수증으로 죽어 버릴 것입니다. 또 농도가 낮은 민물에 가면 핏줄 속으로 수분이 침투해 핏줄이 팽창해서 죽게 됩니다.
반대로 민물고기는 몸 속의 염도가 외부의 염도보다 낮기 때문에 신장을 통해 끊임없이 수분을 방출하고 염분을 섭취합니다. 이 민물고기가 바닷물 속으로 들어가면 몸 안의 수분이 모두 빠져나가 죽게 됩니다.
반응형
'심심한데 한 번 읽어볼까!? > 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잠을 자는 이유는? (15) | 2020.04.09 |
---|---|
위대한 사람들은 잠을 얼마나 잤을까? (12) | 2020.04.08 |
신체에 점이 생기는 이유! (10) | 2020.04.07 |
왜 주사는 엉덩이에 맞을까요? (9) | 2020.04.07 |
피로회복제는 피로회복에 도움이 될까? (5) | 2020.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