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기 장탈착 및 취급 시 주의사항
Case 취급
플라스틱 Case
- 전기적 또는 자기적 영향을 받지않는 계기에 이용
비자성 Case
- 전기적인 영향을 차단하는 효과가 뛰어나 주로 이용
자성(철재) Case
- 자기적인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자성 Case가 이용
계기판의 특징
-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Shock Absorber가 설계되어 있고 계기판과 동체는 서로 다른 이질 금속이기에 Bonding Strap을 장착해 전기적 연속성을 유지하고 Shock Mount 계기판은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어야 한다.
계기의 배치
- FAA가 권고하고 지정한 T형 배열이 주로 이용되며 자세 계기를 중심으로 좌측에 속도계 / 우측에 고도계 / 바로 아래에 방위지시계를 배치한다.
계기 색깔 표시
적색 방사선
- 최소 / 최대 운전 혹은 운용 한계 표시
황색 호선
- 경계 또는 경고 범위
녹색 호선
- 상용 안전 운용 범위
청색 호선
- Carburator를 장비한 왕복기관에서 사용
백색 호선
- Flap을 조작할 수 있는 속도 범위
백색 방사선
- 유리와 Case의 어긋남 표시
계기 및 계기계통 정비
계기 정비
- 계기 정비는 공장정비로서 라인 정비사가 수행할 권한과 의무는 없지만 한정자격증을 갖춘 특기 정비사가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자세한 것은 정비매뉴얼을 참고한다.
계기의 장탈
- 장탈할 계기 장착 방식을 파악
- 항공기에 전원 상태, 유압 연결 상태 등을 점검하고 불필요한 전원 및 작동유 등을 차단하여 계기계통과 격리
- 장탈할 계기의 명칭, P/N, S/N, 장탈 위치 등을 기록
- 계기의 Connector 등을 장탈하고 해당되는 전용 Cap으로 막고 외부 충격 및 정전기 방지 조치를 취한 후 Case에 넣어서 운반
계기의 장착
- 사용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장탈한 계기와 동일한 것인 것 확인
- 배선 및 배관 연결 후 뒤틀림이 없는지, 제대로 조여져 있는지 확인
- 장착이 완료되면 해당 전원이나 동력원을 공급하고 작동 시험 시작하고 시험이 끝나면 항공기를 원상 복구
전방 장착식
- 계기의 Flange(가장자리)가 있는 계기로 계기판 앞에서부터 계기를 넣어 장착하는 방식
- 베젤이 앞으로 튀어나와 있는 형태
후방 장착식
- 계기판 뒤에 계기를 장착하는 방식
- 베젤이 보이지 않는 형태
- 장탈착이 어려운 방식
클램프 장착식
- Flange가 없는 원형 계기들은 계기판 뒷면에 있는 Clamp로 고정
- 장착 시, 기울어지게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
'항공정비 > Part 2 항공전자.전기.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tot-Static Tube 계통 누설 확인 작업 (1) | 2020.08.13 |
---|---|
Pitot-Static Tube 계통 점검 수행 및 점검 내용 체크 (1) | 2020.08.12 |
FDR, CVR, ULB (2) | 2020.08.10 |
RMI, ADC, CMC, FMC, Stall Waring System (0) | 2020.08.09 |
종합 전자식 계기 종류 (0) | 2020.08.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