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용접 및 작업 후 검사
용접의 종류
융접
모재의 접합부를 용융상태를 가열하여 접합하거나 용융체를 주입해 융착시키는 방법으로서, '산소-아세틸렌' 용접과 같은 전기 아크 용접과 교류나 직류를 이용해 모재와 용접봉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키는 가스 용접이 있다.
압점
접합부를 반 용융상태로 가열 또는 상온 상태에서 기계적 압력을 가해 융착시키는 방법
납땜
모재를 전혀 녹이지 않고 모재보다 용융점이 낮은 금속을 녹여 접합부에 넣어 표면 장력으로 접합하는 방법
**용접: 접합 부분 사이에 용융된 용가재를 첨가하여 접합시키는 방식
용접의 작업
전진법(좌진법)
가스 토치 방향이 용접의 진행방향과 같은 것으로서, 얇은 판재에 주로 사용. 느리고 비드 모양이 매끈
후퇴법(우진법)
가스 토치 방향이 용접의 진행방향과 반대인 것으로서, 두꺼운 판재에 주로 사용. 빠르고 비드 모양이 매끈하지 않음
<전진법>
<후진법>
용접 및 작업 후 검사
Overlap
용접 속도가 느려, 과하게 녹아서 오목하고 강도가 떨어짐
Under Cut
용접 속도가 빨라, 용융이 잘 일어나지 않아 융합이 잘 안됨
용접부(접합부 및 주변부) 검사
균열, 열에 의한 팽창 후 수축으로 인한 변형 및 잔류 응력은 NDI를 이용해 검사.
728x90
반응형
'항공정비 > Part 1 항공기체 및 발동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tch의 재질 및 두께 선정기준 (2) | 2020.04.18 |
---|---|
도면의 이해 (0) | 2020.04.17 |
용접 및 작업 후 검사 (5) | 2020.04.16 |
Rivet 작업 후의 검사 (3) | 2020.04.15 |
발동기 정비방식 (3) | 2020.04.14 |
Stop Hole의 목적, 크기, 위치 선정 (6) | 2020.04.14 |
포스팅 잘 보고 갑니다:)
답글
잘보고갑니다
답글
좋은 글 잘보고
공감 많이 하고 갑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되세요.
답글
용접만 하고 끝나는게 아니라 접합된곳에 검사도 꼭 해야 하군요.. 용접만 뚝딱 하면 끝날거라 생각한 단순한1인입니다..ㅠㅠ
답글
오늘도 잘 배우고 갑니다.~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