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기심심풀이
2021. 5. 11. 18:00
반응형
변수의 정의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변수에는 한 가지 데이터 타입의 값만 저장할 수 있다.
변수의 선언
데이터 타입 + 변수이름
int a //정수타입 int와 변수이름 a
float b //실수타입 float와 변수이름 b
타입은 변수에 저장되는 값의 종류와 범위를 정하기때문에 어떤 값을 변수에 저장할지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변수값 저장
변수에 값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대입 연산자(=)을 사용한다. (=)은 자바언어에서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저장한다는 의미이다.
int a = 15; //오른쪽 15값을 왼쪽 변수 a에 저장
상수와 리터럴
상수는 변경할 수 없는 수를 의미한다.
리터럴은 소스 코드 내에서 직접 입력된 값을 의미한다.
int a = 15; //왼쪽은 변수, 오른쪽은 리터럴
int b = a + 10; //왼쪽은 변수, 오른쪽은 상수
반응형